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얼마 전 한국영화 "감기" 가 개봉하면서 이전의 "연가시"와 함께 한국형 의료 공포영화...혹은 전염병 재난 영화의 정형성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불편한 것은 영화 제작의 목적이 애매모호함과, 현실적의 고증의 부재 이다.

 

먼저 목적 불명의 영화들은 관객들이 보면서 "이게 재난 영화야...공포 영화야...감동의 가족 영화야..." 라는 의문에 빠지게 만든다.

 

"연가시" 에서도 감염자들 체육관에 격리시키고 난리 부르스 추게 만들어서 스케일 보이려고 하더니, 갑자기 죽어나가는 사람들 보여주고 없는 약을 찾아서 고군분투 하는 아버지가 뛰어 다니더니, 알고보니 거대 제약회사의 음모였대!!!

 

물론 이런 한국식 짬뽕 컨셉"감기" 에서도 이어지는데, 이건 최악의 시나리오와 병맛 같은 고증을 가지고 있어서 더 황당하고 어이가 없다.

 

한국에선 코메디 영화든, 액션 영화든...꼭 결말은 어이 없는 감동 코드를 집어 넣으려고 하는데, 그 포석이 깔리려면 꼭 "가족" 이라는 키워드가 들어가야 하나보다.

 

그것도 "해운대, 괴물" 등의 영화를 보면 알겠지만 꼭!!! 어린 아이가 등장해야 하고, 그 아이가 꼭!!! 직접적인 피해자 내지는 감염자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인공들은 정말 희한하게도 "의사, 박사, 119구조원, 일반인, 군인..." 참으로 다양한 인물들을 병렬식으로 보여주는데, 위의 포스터를 보고 있지만 그런 인물 구성을 강조하려다 보니 헐리우드 질병 감염 재난 영화인 "컨테이젼"의 포스터를 표절(?) 하는 지경까지 오게 되었다.

 

하지만 세계적인 명장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영화 "컨테이젼" 은 "감기" 와 여타 한국식 재난 영화와는 다른 철저하게 현실적이고 냉정하게 무감동한 영화이다.

 

주요 인물 구성은 미국 CDC(질병관리본부) 구성원 들이고, 그들이 질병의 과정을 역추적 하고, 감염자들 관리하고, 치료제 개발하고, 약을 배급하고, 정부와 매스컴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런 것들을 정말 철저한 고증을 통해 현실적으로 그리고 있어서, 어찌보면 정말 재미가 없는 영화일 수도 있다.

 

"연가시, 괴물" 같은 공황상태에 빠진 사람들과 잔인하게 죽어가는 감염자, 가족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은 없다.

 

사실 물론 있기는 있다.ㅋㅋ

 

CDC 국장이 자기 와이프 살리려고 그 도시에서 도망가라고 미리 전화 한통화 해주는 정도...지만^^;;

 

약간 극적 재미를 위한 비현실적 캐릭터인 "주드 로" 가 등장해서 매스컴을 이용해 혹세무민하고 정부와 제약회사를 이용하려는 내용이 주의를 환기 시키지만, 영화 자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감기" 영화의 내용으로 돌아와서...

 

이 영화는 짬뽕 영화의 종특인지 갑자기 도시(분당) 전체를 계엄 같이 폐쇄해서 군사 영화가 되더니, 대통령이 나와서 전시 작전권 문제를 말하며 정치영화로, 21세기에 감염자를 불에 태워 죽이는 공포 영화가 되었다가, 미군은 전투기 폭격으로 도시를 날려버린다는 블럭버스터 영화가 된다.

 

그 와중에 "수애" 는 자식새끼 살리려고 뛰어다니고, "장혁"은 자기 자식도 아닌데 목숨걸고 뛰어다니고...

 

이 부분은 1995년에 개봉한 "볼프강 페터젠" 감독, "더스틴 호프만, 르네 루소, 모건 프리만"이 주연했던 명작 전염병 영화 "아웃 브레이크" 의 포멧을 거의 가져온 것도 같다.

 

군부대와 CDC 와의 알력, 감염자와 근원지에 폭격을 하려는 군부, 감염된 아내를 구하려고 뛰어다니는 남자 주인공...

 

어때? 90년대 영화인 "아웃 브레이크"와 똑같지???

 

한국적 특수성을 집어 넣고 싶었는지, 미군 문제와 전시 작전권 환수 문제를 끼워 넣었는데...그것은 "봉준호" 감독이 "괴물" 에서 훨씬 더 재미있고 세련되게 써먹었던 소재이다.

 

 

참..."김성수" 감독의 욕심 때문인지...아님 한국 관객들 수준과 코드를 맞추려고 그런건지...

 

결국 "감기" 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나는 그냥 "억지 감동을 위한 재난영화 주제에 소재만 감염성 질병인데, 그것도 짬뽕 짜집기 뿐인 영화" 정도로 평가 하겠다.

 

그냥 전염병 재난 영화 보고 싶으면 "컨테이젼" 보세요...

 

이게 바로 정석이고 FM 입니다...

 

게다가 "맷 데이먼, 주드 로, 기네스 펠트로, 마리옹 꼬띠아르, 로렌스 피시번, 케이트 윈슬렛" 등의 초호화 캐스팅의 명배우들의 향연!!!!

 

다 때려 치우고 "컨테이젼" 보러 출발 하세여~~~

Posted by DreamSEA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원래 설날과 추석의 양대 명절은 한국에서 가장 많은 관객이 극장을 찾는 영화 성수기이다.

때문에 각각의 영화수입사, 배급사들은 각자 자신있는 최상의 라인업을 갖추고 이들 시즌을 준비하기 마련이다.

또한 대체적으로 명절 극장 관람층은 가족단위가 많기 때문에 내방 연령층이 높아져서 자막이 있는 외국 영화 보다는 한국 영화가 인기가 높고, 장르 면에서도 범죄물이나 공포물 보다는 코메디나 멜로 영화가 대세를 이룬다.

본인 또한 왕년에 영화관 좀 다녀보셨다는 부모님을 모시고 그해의 화제작을 찾아 극장을 방문하는데, 올해에는 "불꽃처럼 나비처럼"을 선택하게 되었다.


아빠가 좋아하는 사극 액션과, 엄마가 좋아하는 멜로에 "조승우, 수애"등 유명 배우까지 나오니 부모님은 너무 좋아하셨지만...

나는 실망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심지어 "조승우가 군대간 것은 이영화 개봉하면 쪽팔릴것 같아서이다!" 라는 소문이 들릴 정도...


일단 시나리오, 배우 캐스팅, 제작팀...모두 드림~ 이었다.

시나리오 자체는 한때 대한민국 무협계를 좌지우지했던 작가인 "야설록"이 쓴 동명의 소설이다.

물론 그의 다작 개념과 황당무계한 내용전개로 인해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그는 "아마겟돈, 남벌" 등의 명작 만화와 시나리오를 통해 엄청난 인기를 얻고 탄탄한 지지기반을 닦았던 작가이다.

(역사+무협+영웅+사랑) 등을 잘 버무려진 팩션 형식의 시나리오는 대한민국에 산다면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할 수밖에 없는 요소들이 섞여있다.


배우 또한 영화판에서 20대에 거의 유일하게 남겨진 실력있는 연기파 배우이자 흥행배우인 "조승우"와, 한국적인 아름다움과 감성있는 멜로연기로 인정받은 "수애"님이 나오는데!!!

왜 영화는 재미가 없는 것이냐!!!


문제는 감독에게 있다고 봐야 한다.

젊은이들의 사랑을 담담하게 그린 "와니와 준하"와 공포영화인 "분홍신"을 연출했던 "김용균" 감독...

도무지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일관성 없는 필모그래피는 "감독, 당신은 누구인가?" 라는 본질론적 질문을 불러일으킴과 더불어 이번 영화에서는 "보여주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라는 색깔론까지 야기한다.


가장 경악스러운 것은 아름다운 우포 늪과 화려한 궁궐씬에서 이어지는 어이없는 CG 액션씬이다.

마치 90년대 후반 조악하기 그지 없었던 홍콩 무협영화에서나 볼 듯한 어색하고 뜬금없는 CG...

감독님...왜 그러셨어요?


어쨌든 부모님은 그런 것에 아랑곳 없이 재미있게 영화를 보고 나오셨으니 큰 불만은 없지만 안타까운 마음은 어쩔 수 없다.

단 하나 수확이 있다면 우리 "수애" 누님에 대한 재발견 정도?

아...
어찌 그리 고울 수 있단 말입니까!!!
Posted by DreamSEA
이전버튼 1 이전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