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패착: 지게 되는 나쁜 수.

 

영화 시작과 함께 챕터의 구분과 내용을 알려주는 문구가 자막으로 뜬다.

 

이미 많은 영화들에서 보여지는 챕터 구성과 챕터별 제목은 조금 식상하기도 한데, 이 영화상에서 챕터명으로 보여주는  "패착" 이라는 바둑용어는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데...그 이유를 살펴 보자.

 

 

누군가 말했던 것 처럼 "신의 한수" 를 가장 잘 표현한 감상은 "타짜로 시작해서 아저씨로 끝났다" 라는 한마디로 정의될수 있다.

 

바둑이라는 스포츠이자 도박의 소재를 빌려왔을 뿐, 그 구성과 진행이 "최동훈" 감독의 "타짜" 를 그대로 따라하고 있으며, 지나치게 잔인하고 과장되어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액션씬은 "이정범" 감독의 "아저씨" 를 떠올리게 한다.

 

 

 

좋은 소재, 좋은 배우 에다가 좋은 개봉시기 까지 잡았지만 영화 기획 단계에서부터 이미 잘못 되었던듯 싶다.

 

일단 각본 자체가 너무나도 진부하고 유치한데,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스토리의 플롯과 인물구성 등이 만화 원작 영화였던 "타짜" 를 그대로 베껴온 듯 했기 때문이다.

 

특히 2달 뒤에 "타짜: 신의 손" 이라는 영화가 개봉했는데, 이는 만화 "타짜" 시리즈 중에 2부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감옥에서 도박하고 나와서 복수하는 기본 플롯이 거의 똑같다.

 

"최종병기 활" 의 문제에서도 보았듯이 도박 복수극이 다 비슷한거 아니냐...라는 물타기가 가능할 지도 모르겠으나, 각본가인 "유성협" 씨는 좀 찔리는 척이라도 해야 할것 같다.

 

하다못해 "지존무상, 정전자" 등의 8,90년대 홍콩 도박 영화들 보다도 독창성이나 재미에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이전에 "내 생애 가장 아름다운 일주일, 1번가의 기적, 수상한 고객들" 들의 각본을 보았을 때에는 그래도 만족할만한 작가라고 생각했었는데..왜 액션영화 시나리오를 썼는지는 모르겠지만 너무 단순하게 생각한 것은 아닌지 반성해야 한다.

 

그리고 차라리 원작이 있었으면 덜 욕먹었을 테지만, 이 영화는 원작 소설,만화,웹툰 등이 전혀 없으니 혼동하지 맙시다.

 

 

더 큰 문제는 영화를 책임져야 할 감독인 "조범구" 씨의 연출이야 말로 "패착" 이 아닐수 없다.

 

"뚝방전설"조잡함 "퀵"어설픔을 넘어선 무언가를 보여주기엔 아직 무르익지 못한 것 같아 보인다.

 

누구나가 느낄수 있는 "최동훈""이정범" 감독의 그림자가 영화 곳곳에 드리워져 있어서, 이 영화에서 "조범구" 감독이 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보이지가 않는다.

 

피칠갑한 도박판에서의 역할이 불분명한 사람들의 칼싸움???

 

대체 뭘 말하고 보여주고자 하는지 잘 모르겠다.

 

혹자들은 그래도 킬링타임용 액션 영화로는 괜찮지 않았냐고 하는데, "정우성 멋있다. 이범수는 왜저래, 이시영 왜나왔냐" 라는 감흥을 느낀 순간 이후부터는 영화가 지루해 졌다.

 

 

 

356만명...19금 영화 치고는 나쁜 성적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흥행한 것도 아닌것이 아마 손익분기점이 200만 이상이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7~9 월의 "군도, 명량, 해적, 해무, 타짜" 를 피해서 가장 먼저 시장에 내놓은 시도는 그리 성공적이지 못해서 초라하다.

 

차라리 동시에 개봉했으면 핑계라도 있을텐데...

 

참 여러가지 면에서 아쉬운 영화였다.

Posted by DreamSEA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그래, 알고도 속아주고 뻔하지만 울어준다.


극장에서 보지 못한 것이 아쉽지만 워낙에 재밌고 감동적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기 때문에 한참 후에 보게 되면서 그런 풍문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했다.

하지만 지뇽이라는 놈의 장점이 본 영화 또 보는 것도 좋아하고, 내용을 알면서도 잘 빠져들고, 만든 이의 의도에 잘 넘어가 준다는 것이다.
(근데 단점은 볼때는 울고 웃고 재밌게 봐 놓고는 글을 쓸때는 negative한 뒷땅, 뒷다마, 뒷담화를 늘어 놓는다는 점?^^;;)


어쨌든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부터 시작된 마이너 스포츠의 애환과 고난, 그리고 "이범수, 조안"몸을 사리지 않는 배우들의 열연!!!

이런 것 만으로도 충분히 한국인의 감동 코드를 건드리는 배경 준비는 완벽하다고 볼 수 있다.

아니, 오히려 이런 부분이 너무 과해서 좀 불편한 감도 없지 않아 있었고...


하지만 단점이라고 굳이 하나 꼽아 보라면 연출 정도?

아무래도 감독인 박건용씨가 첫 입봉작이다 보니까 욕심은 많고...시간은 짧고...
운동 경기...그것도 입식 수직운동인 역도경기를 가지고 스포츠 영화의 역동성을 보여줘야 하고...
갖은 복선을 깔아놓긴 했는데 여기저기 수습도 해야 하고 감동의 타이밍을 재야 하고...


그렇지만 워낙 소스가 좋다보니 조금 서투른 주방장이 요리를 해도 일품 요리는 나오는 법이랄까?

굉장히 재밌게, 감동적으로 본 영화였다.
Posted by DreamSEA
이전버튼 1 이전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