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갑자기 2세가 한달 일찍 세상에 나오는 바람에 영화 감상이나 글을 쓰는 일이 매우 늦어져 버렸다.

 

어쨌든 다시 가정에 평온을 찾고 나서 처음으로 본 영화가 바로 "그랜드 부다패스트 호텔" 이다.

 

얼마 전에 친구가 재미있다고 한 말도 영향이 있었지만, 저 화려하다 못해 눈이 부신 캐스팅의 포스터를 보고 그 영화를 확인해 보고 싶지 않은 영화 팬은 없을 것이다.

 

"웨스 앤더슨" 감독은 많은 작품을 만들지도 않았고, 나도 예전에 "다즐링 주식회사" 라는 영화를 한편 보았을 뿐이었지만, 단 한편 만으로도 자신의 색깔을 확연히 보여주는 아이덴티티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가만히 살펴보면 그의 제작 스타일이 보이는데, 일단 그는 세트나 제약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을 좋아하는 듯 하다.

 

"다즐링 주식회사" 에서는 달리는 기차 안,

"스티브 지소우 와의 해저생활" 은 해저 잠수함,

"문라이즈 킹덤" 은 작은 섬..

"그랜드 부다패스트 호텔" 에서는 거대한 호텔 내부와 감옥...등에서 대부분의 분량이 소화 된다.

 

 

 

다음 특징으로는 모든 영화에 대단히 많은 배우들이 등장하는데, 그 출연진의 면면은 항상 헐리웃 대스타 부터 시작해서 연기력으로 인정받는 명배우 까지 매우 다양한 스펙트럼의 배우들이 출연하고 있다.

 

많은 배우들인 "웨스 앤더슨" 감독과 일을 하고 싶어한다고는 하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굳이 이렇게 많은 배우들을 써야 하나...싶기도 하고, 또 굳이 이 많은 배우들을 전면에 내세울 필요가 있을까...싶기도 하다.

 

예를 들어 내가 좋아하는 XX 배우가 출연한다고 해서 영화를 보아도 너무 작은 비중의 조연 이라거나 분장이 심해서 출연을 했는지 조차 알수 없는 경우들도 많다.

 

이번 영화에선 "틸다 스윈튼" 이 과도한 분장으로 인해 알아보기 힘들었고,

이전 작품에서 주연급으로 활약했던 "애드리안 브로디, 오웬 윌슨, 에드워드 노튼" 등이 거의 까메오와 마찬가지 정도의 조연으로 등장하는 점도 마찬가지 이다.

 

 

 

어쨌든 감독이 이러한 사람 같다...라는 얘기는 이쯤 하고, 영화 내용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자.

 

앞서 말한 제약된 공간에서의 해프닝을 좋아하는 "웨스 앤더슨" 의 특징 때문인지 몰라도 영화의 흐름은 유기적이라기 보다는 씬과 씬의 경계가 명확해 지는 구분을 가지는데, 그것은 대부분 "무대의 변경" 에 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호텔-> 기차-> 귀족집-> 감옥-> 기차-> 알프스-> 기차-> 호텔) 등의 장소 변경에 따라 영화의 챕터가 구분이 되고, 감독은 친절하게 번호 라벨링까지 해서 관객들에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인지 몰라도 이 영화는 영화라기 보다는 드라마, 그중에서도 시트콤에 가깝다는 인상을 받는다.

 

좀 익숙하다..싶은 느낌이 들어서 곰곰히 생각해 보니 일본 코메디 영화에서 나오는 형식들과 매우 흡사한 구성과 표현 이라는 결론에 도달 하였다.

 

상확극 이라기 보다는 시트콤에 가까워 지는 이런 모습은 공교롭게도 "츠마부키 사토시" 가 모두 출연했던 영화 "약 서른 개의 거짓말, 매직 아워" 등과 매우 흡사하고, 굳이 가져다 붙이자면 "웰컴 미스터 맥도날드" 와도 연관성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이런 구성들의 특성상 장면의 몰입감이 굉장히 강하고, 장소 변화에 따라 스토리 전개가 매우 빠르고 경쾌하게 흘러가기 때문에 관객이 느끼기에 시간이 매우 빨리 간다고 생각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반대로 이런 형식에 생경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영화에 빠져들지 못하고 겉돌게 되기 때문에 모든 상황과 개연성의 흐름이 유치하게 느껴지고, 심지어는 매우 지루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실제로 작품성이나 재미 면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 이 영화는, 실제로 주변에 본 사람들도 별로 없지만 굳이 물어 보아도 재미있게 보았다는 사람은 별로 없다.

 

애초에 "웨스 앤더슨" 감독을 알고 있었거나, 나처럼 영화를 가리지 않고 보는 성향이 있는 사람들을 빼고는 그다지 대중적으로 성공할 만한 영화는 아니라는 뜻이다.

 

 

 

어쨌든 초반에 익숙해 지면 매우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영화이니 가능하면 꼭 도전해 봅시다!!!

Posted by DreamSEA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얼마 전 한국영화 "감기" 가 개봉하면서 이전의 "연가시"와 함께 한국형 의료 공포영화...혹은 전염병 재난 영화의 정형성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불편한 것은 영화 제작의 목적이 애매모호함과, 현실적의 고증의 부재 이다.

 

먼저 목적 불명의 영화들은 관객들이 보면서 "이게 재난 영화야...공포 영화야...감동의 가족 영화야..." 라는 의문에 빠지게 만든다.

 

"연가시" 에서도 감염자들 체육관에 격리시키고 난리 부르스 추게 만들어서 스케일 보이려고 하더니, 갑자기 죽어나가는 사람들 보여주고 없는 약을 찾아서 고군분투 하는 아버지가 뛰어 다니더니, 알고보니 거대 제약회사의 음모였대!!!

 

물론 이런 한국식 짬뽕 컨셉"감기" 에서도 이어지는데, 이건 최악의 시나리오와 병맛 같은 고증을 가지고 있어서 더 황당하고 어이가 없다.

 

한국에선 코메디 영화든, 액션 영화든...꼭 결말은 어이 없는 감동 코드를 집어 넣으려고 하는데, 그 포석이 깔리려면 꼭 "가족" 이라는 키워드가 들어가야 하나보다.

 

그것도 "해운대, 괴물" 등의 영화를 보면 알겠지만 꼭!!! 어린 아이가 등장해야 하고, 그 아이가 꼭!!! 직접적인 피해자 내지는 감염자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인공들은 정말 희한하게도 "의사, 박사, 119구조원, 일반인, 군인..." 참으로 다양한 인물들을 병렬식으로 보여주는데, 위의 포스터를 보고 있지만 그런 인물 구성을 강조하려다 보니 헐리우드 질병 감염 재난 영화인 "컨테이젼"의 포스터를 표절(?) 하는 지경까지 오게 되었다.

 

하지만 세계적인 명장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영화 "컨테이젼" 은 "감기" 와 여타 한국식 재난 영화와는 다른 철저하게 현실적이고 냉정하게 무감동한 영화이다.

 

주요 인물 구성은 미국 CDC(질병관리본부) 구성원 들이고, 그들이 질병의 과정을 역추적 하고, 감염자들 관리하고, 치료제 개발하고, 약을 배급하고, 정부와 매스컴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런 것들을 정말 철저한 고증을 통해 현실적으로 그리고 있어서, 어찌보면 정말 재미가 없는 영화일 수도 있다.

 

"연가시, 괴물" 같은 공황상태에 빠진 사람들과 잔인하게 죽어가는 감염자, 가족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은 없다.

 

사실 물론 있기는 있다.ㅋㅋ

 

CDC 국장이 자기 와이프 살리려고 그 도시에서 도망가라고 미리 전화 한통화 해주는 정도...지만^^;;

 

약간 극적 재미를 위한 비현실적 캐릭터인 "주드 로" 가 등장해서 매스컴을 이용해 혹세무민하고 정부와 제약회사를 이용하려는 내용이 주의를 환기 시키지만, 영화 자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아니다.

 

 

다시 "감기" 영화의 내용으로 돌아와서...

 

이 영화는 짬뽕 영화의 종특인지 갑자기 도시(분당) 전체를 계엄 같이 폐쇄해서 군사 영화가 되더니, 대통령이 나와서 전시 작전권 문제를 말하며 정치영화로, 21세기에 감염자를 불에 태워 죽이는 공포 영화가 되었다가, 미군은 전투기 폭격으로 도시를 날려버린다는 블럭버스터 영화가 된다.

 

그 와중에 "수애" 는 자식새끼 살리려고 뛰어다니고, "장혁"은 자기 자식도 아닌데 목숨걸고 뛰어다니고...

 

이 부분은 1995년에 개봉한 "볼프강 페터젠" 감독, "더스틴 호프만, 르네 루소, 모건 프리만"이 주연했던 명작 전염병 영화 "아웃 브레이크" 의 포멧을 거의 가져온 것도 같다.

 

군부대와 CDC 와의 알력, 감염자와 근원지에 폭격을 하려는 군부, 감염된 아내를 구하려고 뛰어다니는 남자 주인공...

 

어때? 90년대 영화인 "아웃 브레이크"와 똑같지???

 

한국적 특수성을 집어 넣고 싶었는지, 미군 문제와 전시 작전권 환수 문제를 끼워 넣었는데...그것은 "봉준호" 감독이 "괴물" 에서 훨씬 더 재미있고 세련되게 써먹었던 소재이다.

 

 

참..."김성수" 감독의 욕심 때문인지...아님 한국 관객들 수준과 코드를 맞추려고 그런건지...

 

결국 "감기" 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나는 그냥 "억지 감동을 위한 재난영화 주제에 소재만 감염성 질병인데, 그것도 짬뽕 짜집기 뿐인 영화" 정도로 평가 하겠다.

 

그냥 전염병 재난 영화 보고 싶으면 "컨테이젼" 보세요...

 

이게 바로 정석이고 FM 입니다...

 

게다가 "맷 데이먼, 주드 로, 기네스 펠트로, 마리옹 꼬띠아르, 로렌스 피시번, 케이트 윈슬렛" 등의 초호화 캐스팅의 명배우들의 향연!!!!

 

다 때려 치우고 "컨테이젼" 보러 출발 하세여~~~

Posted by DreamSEA
이전버튼 1 이전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