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카피 그대로 2013년 가장 기대되는 영화였고, 직접 확인한 결과는 충분히 만족 스러웠다.

 

근데 사람들은 뭐가 그리 불만이고 부족한지 투덜투덜 비평아닌 비평을 하느라 작품 깎아내리기에 여념이 없다.

 

-1000만 관객 영화는 아니다...

-본 시리즈 따라한거 아니냐...

-줄거리가 어설프다...

-하정우 빼고 나머지는 미스캐스팅.. 혹은 연기 못한다...

-북한 사투리 못 알아 먹겠다...

 

역시 한국에서는 "가문의 영광" 시리즈나 줄창 만들어야 하나보다.

 

 

1. 첩보액션 장르의 부활에 감사하다.

 

나는 한국에서 100억이라는 자본을 들여서 첩보 액션 영화를 찍을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충분히 고무적인 시도였으며, 그 결과 또한 충분히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90년대 후반, 2000년대 초반에 100억대 대작 몇개가 말아먹으면서 충무로가 얼어붙었고, 다시 "실미도, 왕의 남자, 태극기 휘날리며" 등의 영화가 1000만을 넘기며 영화의 규모가 커지기 시작할때...

 

충무로 키드로 커서 재능을 인정받았던 "류승완" 또한 좋은 작품을 많이 만들었지만 자본에 찌들렸었고, 결국 그의 와이프 "강혜정" 씨가 "베를린" 스크린 플레이의 제일 위에 적힌 "외유내강 필름" 이라는 제작사를 직접 만들어서 영화를 제작하게 되었었다.

 

그렇게 돈을 투자받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하다 보니 "부당거래" 같은 작품도 직접 각색해서 나온거고, "베를린" 같은 영화도 직접 각본을 써서 만들수 있었던 것이다.

 

첩보액션이라는 분야가 한국에서는 메이져 장르도 아니고, 자본과 스케일이 뒤따라야 하는 데다가, 2003년 "이중간첩" 의 실패로, 거의 사장되다시피 한 분야라서...아마 시나리오만 들고 영화사 쫒아다니고 배급사 찾아다녔으면 10년이 걸려도 크랭크인도 못하고 사장되었을 지도 모른다.

 

어쨌든 만들어서 스크린에 걸어준 것 만으로도 감사하다는 것이다.

 

언제까지 말도 안되는 코메디, 웃기다가 울리는 휴먼드라마, 스포츠 드라마, 로맨틱 코메디, 형사물...만 볼거야?

 

 

2. 한국의 분단 특수성을 살린 각본의 힘.

 

알다시피 이 작품의 각본은 "류승완" 감독이 직접 쓴 것이다.

 

직접 쓴 시나리오를 감독할 때...감독의 의도가 100% 전달되는 것은 모두가 주지하는 사실이다.

 

그리고 그의 각본, 각색 실력은 "부당거래" 에서 유감없이 입증되어 그간에 "류승완 = 액션" 뿐이던 세간의 인식을 바꾸게 하였다.

 

그가 집중한 부분이 첩보액션 분야가 된것이 우연인지는 모르겠지만, 그동안 천대...라기 보다는 거부되던 장르가 부각된 데에는 아무래도 "본 시리즈, 007, 미션 임파서블" 등의 시리즈로 울궈 먹지만 초대박 흥행을 이어가는 헐리우드 첩보액션 영화들의 한국 흥행 성적이 발판이 되기는 했지만, 아마도 "아이리스" 등의 첩보액션 드라마가 수백억 제작비를 동원하여 제작되어 성공하였기 때문에 분위기가 달아올랐기 때문일 것 같다.

 

사실 지구상 유일한 분단국가인 한국 만큼 첩보 액션 장르가 생활과 밀접하고 가까운 나라는 없다.

 

60~80년대까지 울궈먹던 "냉전" 이라는 이데올로기가 사라지고, 최근의 첩보액션 영화는 "이념" 에 따른 극렬한 대립이 아닌 단순한 테러리스트와의 전투 밖에 남지 않았다.

 

맨날 싸우는 애들이 이슬람 과격분자 밖에 없잖아!!!!

 

그런데 한국에는 60년 넘게 극단적으로 갈리는 이념을 바탕으로한 대립...이 존재한다.

 

헐리우드에서도 "007" 등의 영화나 "스텔스" 등에서 북한이 새로운 적으로 등장하기도 하지만, 그 비중이 미미하다.

 

때문에 한국인이 쓰는 첩보액션 시나리오에서 북한과의 대립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인데, 마침 그 시점이 김정일 사망 이후 김정은 체제로 이양되는 정치적 혼란기 이다.

 

사람에게는 때가 있다고 하였고, 인사는 하늘에 달렸다고 했던가...

 

"류승완" 감독이 첩보영화를 준비하고 2011년에 제작 시작을 하는데, 마침 그때 김정일이 죽는다.

 

때문에 단순히 이념 대립에 따라갈수도 있던 작가의 내용과 관객의 기대 폭이 넓어지게 되었다.

 

"제이슨 본,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 에서 보이던 조직 내부의 권력 투쟁과 함정, 내부자 숙청...다양한 가능성등이 추가되기도 하고...

 

어쨌든 거리감 있고 재미도 없었던 이슬람 과격분자와의 싸움 보다는 훨씬 이해하기 쉽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생소한 첩보액션 장르가 관객에게 한층 더 설득력을 얻을수 있지 않을까 싶다.

 

또한 CIA, 모사드, MI6...등 첩보 세계와의 접점과 아랍권 무기상인, 러시아 브로커...등 다양한 국제 관계들 또한 시나리오에 잘 녹여낸 것 같기도 하다.

(이부분은 "바디 오브 라이즈" 느낌이 나기도...^^)

 

 

3. 적절한 캐스팅과 열연.

 

"류승완" 감독이 말한대로 시나리오와 너무나도 흡사하게 일치하는 배우들이 캐스팅 되어 환상의 진용이 갖추어 졌다.

 

먼저 캐스팅된 "류승범" 이야, 감독의 친동생 인데다가 북한측 인물을 맡는데 적절한 외모와 싸이코 같은 캐릭터가 잘 어울리는데, 한창 "세종대왕" 으로 잘나가던 "한석규" 의 참여는 깜짝 놀랄만 했다.

 

이미 "쉬리, 이중간첩" 등을 통해 한국에서 가장 국가정보원에 어울리는 배우로 각인되었는지 모르지만, 이번에도 베테랑 정보원 역할을 잘 수행한 듯이 보이고, 어색함 없이 "하정우, 류승범" 의 대결에 가교 역할을 해낸 것 같다.

 

그리고 최근 충무로의 핫가이, 흥행의 보증수표인 "하정우"의 뒤늦은 합류는 정말 축제의 절정을 맛보는 듯한 최고의 낭보였다!!!

 

나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하정우" 라는 배우의 색깔이 럭셔리, 인텔리...등의 이미지 보다는 갈증, 야성, 허무, 빈곤함(?) 등의 느낌을 주는데...아마도 "황해, 추격자, 범죄와의 전쟁, 좋은하루" 등에서 맡은 역할들의 잔상이 남아서 그런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측의 스파이에 딱!!! 어울린다.

 

그가 남한 스파이를 했다면? ㅡ.,ㅡ;;

 

근데 젠장, "한석규" 영어발음이나 "류승범, 하정우" 의 북한말에 트집을 잡으면서 안들린다...구리다...고 하는 사람은 뭐야?

 

영화 "Snatch" 에서 "브래드 피트" 는 영국 뒷골목 양아치 연기 하려고 아이리쉬 방언으로 연기를 했다고 하고, 다른 많은 영화에서 많은 배우들이 지역색이 특별한 억양과 말투로 연기하는데, 그것이 캐릭터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그럼 북한 스파이가 또박또박 교양있는 서울사람들이 쓰는 표준말로 말해야 좋겠냐????

 

 

4. 만족스러운 액션 시퀀스.

 

"본 시리즈 따라했다!!!" 라고 한다면 뭐 할말은 없겠다.

 

근데 그게 요즘 액션 영화의 트렌드 이다.

 

대규모 폭발이나 멋진 총격전 보다는 좁은 공간에서의 실감나는 격투신, 실현 가능한 총격전 등이 대두되는 것이다.

 

멋진 스포츠카에 미녀만 태우고 다니는 스파이가 어디 있겠는가?

 

아무래도 이부분은 영화 내내 맞고 뒹굴고 총맞고 기어다닌 "하정우" 씨의 노고에 박수를 보낼 수 밖에 없다.

 

솔직히 머리 크고 몸매 두리뭉실한 그가 액션연기를 하는데 좋은 화면을 보여준다고는 장담할 수 없지만, 그가 보여주는 화면은 정말 처절한 현실감 그 자체였다.

 

보는 내가 다 아플 정도로...

 

 

어쨌든 결론을 내리자면 이 영화는 충분히 칭찬받을 부분이 많은 영화이고, 돈주고 볼만한 영화이고, 1000만 관객이 들지는 모르겠지만 충분히 흥행할 수 있는 영화라는 것이다.

 

빌어먹을, 최근 한국영화 흥행작이라는 "해운대, 활, 광해" 를 봐라...

 

어설픈 시나리오, 그나마 외국영화 배껴온 내용에다가 표절수준의 화면...

 

이딴 영화에 비하면 "베를린" 은 명작이다!!!

 

 

p.s) 이 영화의 유일하게 잘못된 점은 바로 "국정원 직원을 너무 유능하게 그렸다!" 라는 것이다.

한국 국정원 직원은 집에 숨어서 인터넷 댓글 알바나 하는 거 아닌가?

아님 외국 호텔에서 남의 노트북 훔치다가 걸려서 국가 망신 시키는 수준?

Posted by DreamSEA
이전버튼 1 이전버튼